Browse Archives | About This Journal | Editorial Board | For Contributors | e-Submission |
Sorry.
You are not permitted to access the full text of articles.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permissions,
please contact the Society.
죄송합니다.
회원님은 논문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권한 관련 문의는 학회로 부탁 드립니다.
[ ARTICLE ] |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Vol. 23, No. 3, pp.223-230 | |
Abbreviation: Korean J. Medicinal Crop Sci. | |
ISSN: 1225-9306 (Print) 2288-0186 (Online) | |
Print publication date Jun 2015 | |
Received 20 Mar 2015 Revised 15 May 2015 Reviewed 28 May 2015 Reviewed 1 Jun 2015 Accepted 6 Jun 2015 | |
DOI: https://doi.org/10.7783/KJMCS.2015.23.3.223 | |
윤작물 재배에 의한 인삼 뿌리썩음병 발생 억제 효과 |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
Inhibition Effect on Root Rot Disease of Panax ginseng by Crop Cultivation in Soil Occurring Replant Failure | |
Ginseng Research Division,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NIHHS, RDA, Eumseong 369-873, Korea | |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43-781-5541
leesw@korea.kr | |
©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
KeyWords: Crop Rotation, Cylindrocarpon destructans, Panax ginseng, Root Rot |
인삼의 연작장해는 뿌리썩음병에 의한 결주 증가, 토양 이 화학성의 악화, 토양미생물상의 단순화, 타감물질에 의한 자가 독성, 선충에 의한 피해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Lee et al., 1989), 이중에서 Cylindrocarpon destructans에 의한 뿌리썩음병 (Kang et al., 2007; Rahman and Punja, 2005)과 인삼 뿌리에서 분비되는 페놀화합물과 같은 독성물질 에 의한 병원균의 증가 및 인삼의 생육억제 (Sun et al., 2013)가 연작장해 발생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그 외 양분의 과잉 (염류농도, 인산, 질소 등)과 미량원소의 결핍은 연작장해 발생의 집적적인 원인이기 보다는 연작장해 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염류농도, 인산, 질소 함 량이 높으면 양분의 흡수가 저해되며, 뿌리가 갈변되고 상처 가 유발되어 병원균의 침입이 쉬워진다 (Uhm et al., 2001; Yang et al., 2000). 또한 토양미생물상의 단순화도 뿌리썩음병 발생을 촉진하여 연작장해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초작지 토양에서는 방선균 (actinomyctes)의 밀도가 높고 재작 지에서는 총세균과 진균의 밀도가 증가되며, Fusarium spp. 총 진균의 비율도 초작지보다 재작지에서 더 많은 경향을 보 인다 (Shin et al., 1985).
그동안 인삼의 연작장해를 경감하기 위해 훈증제를 이용한 토양훈증, 4 ~ 5년간의 벼 재배에 의한 담수처리, 작토층을 깎 아내는 절토, 50cm 정도의 복토, 표토와 심토를 뒤집는 심토 반전, 10년 이상의 윤작물 재배 등의 방법을 이용해 왔다. 토 양훈증 방법은 뿌리썩음병원균을 죽일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나 토양수분이 적으면 가스 발생이 적어지고 점질토양 에서는 흙덩이 발생으로 완전한 살균이 어렵다 (Ahn et al., 1982). 4~5년간 벼 재배는 병원균의 밀도를 낮출 수 있어 효 과적이나 4년근 이상의 포장에서는 병 발생이 많아지는 단점 이 있으며, 논토양은 배수 불량이나 벼 재배시 사용한 화학비 료 등으로 생리장해 발생이 많아 재배면적 확대에는 한계가 있다 (Lee et al., 2013). 절토, 복토 및 심토반전은 소규모 면적에서 활용할 수 있으나 대규모 면적에는 처리비용 부담과 작업 부주의로 인한 재오염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인삼뿌리썩음병원균 (C. destructans)은 주로 고려인삼, 미 국삼, 일본삼을 비롯하여 알팔파, 스위트 클로버, 연, 벗풀, 당근, 시크라멘, 떡갈나무, 감자, 전나무, 모란, 사과나무류, 배나무류 등과 같은 수목이나 초본성 식물에서 뿌리를 부패 시키는데 (Booth, 1966), 인삼의 뿌리썩음병은 병을 일으키 는 기주범위가 넓고 인삼과 같은 기주식물이 없어도 토양 속에서 10년 이상 생존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방제가 어 렵다 (Kang et al., 2007).
실제 토양 전염성 병해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토양훈증을 하 거나 화학농약을 관주 처리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환경오염 이나 농약잔류의 위험이 크므로 윤작 등과 같은 경종적 방법 이나 길항미생물과 같은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방제하는 것이 보다 친환경적이라고 할 수 있다.
윤작에 의해 식물병해를 억제하려는 시도가 있었는데, Pythium ultimum의 유주자낭 발아와 균사생장 억제에는 목단, 자리공, 대황의 추출물이 효과적이었으며, 이중 가장 효과가 큰 목단 추출물은 참깨의 발병에는 억제효과가 컸으나 오이에 는 발병 억제효과가 없었다 (Park et al., 1990). 호박을 심기 전 토양에 반건조된 네마장황을 투입하였을 때 식물에 기생하 지 않고 독립생활을 하는 선충의 수와 선충에 길항성이 있는 곰팡이의 수가 증가되었으며, 더불어 호박의 줄기와 뿌리의 생 육이 증가되었다 (Wang et al., 2004). 무 식물체에 들어있는 배당체 (glucosinolates)는 세포가 파괴될 때 효소에 의해 isothiocyanate 등으로 분해되어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데, 무 재배는 콩과식물 뿌리에서 콩의 생육에 이익이 되지 않는 작 은 뿌리혹박테리아 혹의 밀도를 감소시키고 식균성 선충의 밀 도를 감소시켜 콩의 생육을 촉진했다 (Pearse et al., 2014). Basil, cumin 및 rose geranium의 정유 성분은 Fusarium spp.에 의해 일어나는 cumin의 뿌리썩음병을 억제했다 (Hashem et al., 2010). 한편, 인삼의 뿌리에서 분비되는 진세 노사이드가 뿌리끝썩음병원균 (Pythium irregulare)의 균사생장 을 촉진했으며 (Yousef and Bernards, 2006), 토양전염성 병 원균인 역병 (Phytophthora cactorum)과 Pythium irregulare 의 균사 생장을 증가시켰다 (Nicol et al., 2003).
그런데 인삼의 뿌리썩음병을 유발하여 연작장해의 주원인이 되는 C. destructans와 식물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삼 연작장해가 발생 한 재작지 토양에서 18종의 윤작물을 재배한 다음 인삼의 뿌 리썩음병 발생율을 조사하여 윤작물 재배에 따른 인삼의 뿌리 썩음병 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충북 충주시 살미면에서 연작장해 발생이 심한 농가포장을 선정하고 2013년 5월 상순에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본 시험에 사용하였다. 선정된 농가포장은 10년 주기로 총 3회 인삼을 재배한 포장으로 토양시료 채취 당시 농가포장에는 4년생 인 삼이 재배되고 있었는데, 결주율이 75%로 매우 높아 연작장 해 발생이 심하였다. 토양시료를 이용하여 시험포트를 제작하 였는데, 포트는 직경 25cm, 높이 30cm의 원형 플라스틱 포 트를 이용하였다.
인삼 재작지의 뿌리썩음 병원균의 오염 정도를 조사하기 위 해 2013년 5월 상순경 토양시료 채취 농가포장에서 생육중인 4년생 인삼을 채취하여 병원균의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채 집한 인삼을 멸균증류수로 깨끗이 씻은 후 이병 조직을 잘 라 1% sodium hypochlorite에서 2분간 표면 살균하였다. 표면 살균한 이병 조직은 멸균수로 3회 세척하고 멸균된 여 과지 (Whatman No. 1)로 물기를 제거한 후 streptomycin (600μg/ml)이 첨가된 감자한천배지 (potato dextrose agar, PDA)에 치상하여 25°C 항온기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치상 한 이병 조직에서 자라난 균사의 선단 부분을 떼어서 PDA 배지에 재배양하였다. 분리된 균은 water agar, V8 agar 배지 등을 이용해 단포자 분리를 하여 생리 및 형태가 동일한 균주 를 선별하였다.
분리된 균주의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위해 complete media agar 배지에서 7일간 배양한 후 CTAB buffer (Proctor et al., 1995)를 이용해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rDNA 의 증폭을 위해 ITS1 (5'-TTCGTAGGTGAACCTGCGG-3'), ITS4 (5'-AACATGCGTGAGATTGTAAGT-3') primer set을 사용하였고 전기영동으로 확인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모 든 순수 분리된 균은 15% 글리세롤 용액에 현탁하여 –70°C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시험포트에 재배한 윤작물은 수단그라스 (Sorghum sudanense Staff), 고구마 (Ipomoea batatas L.), 땅콩 (Arachis hypogaea L.), 콩 (Glycine max L.), 들깨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황기 (Astragalus mongholicus Bunge),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감초 (Glycyrrhiza uralensis Fisch), 네마장황 (Crotalaria juncea L.), 적겨자 (Brassica juncea L.), 청갓 (Brassica juncea Czern), 고추 (Capsicum annuum L.), 상추 (Lactuca sativa L.), 옥수수 (Zea mays L.), 파 (Allium fistulosum L.), 열무 (Raphanus sativus L.), 치커리 (Cichorium intybus L.) 등 18종 이었다.
인삼 재작지 토양으로 제작한 시험포트를 비닐하우스 (높이 3.5 m, 폭 4 m)로 옮긴 다음 윤작물별 표준재배법에 따라 5월 중순부터 파종 또는 육묘한 묘를 이식하여 2013년 10월까지 재배하였으며, 시험포트는 6반복이었다. 재작지 토양에서 뿌리 썩음병 발생을 증가시키고 윤작물의 생육을 촉진하기 위해 무 기성분 함량이 높은 가축분퇴비 (돈분 30%, 톱밥 40%, 수피 30%)를 추비하였는데, 6월 하순경 가축분퇴비를 모든 윤작물 에 포트당 1l씩 추비로 시용하였으며, 퇴비의 무기성분 함 량은 Table 1과 같다. 모든 윤작물은 개화기 때 예취하여 3cm 미만으로 잘게 자른 다음 토양에 다시 섞어 주었다.
Inorganic component of commercial compost used in diseased soil for crop cultivation.
C/N | T-N (%) | P2O5 (%) | K2O (%) | CaO (%) | Mg (%) |
---|---|---|---|---|---|
|
|||||
12.5 | 2.32 | 3.28 | 2.56 | 13.18 | 1.81 |
음건한 토양을 2mm 체로 쳐서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pH 와 EC는 초자전극법으로 분석하였다. 질산태질소는 2M KCl 에 침출여과 후 Auto analyzer (CFA, Norderstedt, Germany) 로 분석하였고 유효인산은 Lancaster법 (NIAST, 2000), 치환성 양이온은 1-N NH4OAc (pH 7.0)로 침출 여과 후 ICP-OES (Intergra XMP, GBC, Braeside, Australia)를 이용하여 분석하 였다. 유기물 분석은 토양 0.25 g을 취해 900°C에서 태워 Automatic Carbon/Nitrogen Analyzer (Vario MAX CN, Hanau, Germany)로 분석하였다.
2년생 인삼의 지상부 생육은 7월 하순에 조사하였고 지하부 생육 및 뿌리썩음병 이병주율은 10월 하순에 조사하였다. 통 계처리는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9.2,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 리간의 평균값을 5% 유의수준에서 최소유의차검정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10년 단위로 윤작을 하면서 총 3번 인삼을 재배한 농가포장 에서 5월 상순경 뿌리썩음병 발생 정도를 조사한 결과 (Table 2) 결주율이 75%로 매우 높아 연작장해 발생이 심하였다. 지 하부를 관찰해 보면 뿌리 끝이 썩어 들어가고 동체에도 흑갈 색 반점과 괴사 증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Soil borne pathogen detected from 4-year-old ginseng in soil occurring replant failure.
Rate of missing plant (%) | Species | ||
---|---|---|---|
|
|||
Fusarium solani (%) | Cylindrocarpon destructans (%) | Other (%) | |
|
|||
75.0 | 53.2 | 37.7 | 10.1 |
재배농가의 의견에 의하면 인삼 수확 후 10년이 경과되어 재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수단그라스와 호밀을 차례로 재배하여 2년간 예정지를 관리한 후 재작을 시도하였는데, 3 년생부터 연작장해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지상부 생육이 억제되고 조기에 낙엽이 지는 증상을 보였다고 하였다.
뿌리썩음병에 이병된 인삼에서 병원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Table 2) Fusarium solani 53.2%, Cylindrocarpon destructans 37.7%, 기타 동정할 수 없는 곰팡이 10.1%가 감염되어 있었다. 인삼의 연작장해를 일으키는 주원인이 되는 뿌리썩음병 병원균 은 C. destructans 이나 대부분 이병된 뿌리에서 F. solani도 같 이 검출되는데 (Lee et al., 2014a, b; Lee, 2004; Punja, 1997), 병원성이 강한 C. destructans가 먼저 감염된 후 F. solani가 감염되어 뿌리썩음병 증상이 더 악화되며 (Lee, 2004; Punja, 1997), Fusarium spp.에 감염되면 인삼 표피에 적변이 생긴다고 하였다 (Lee et al., 2014a).
토양에도 인삼의 뿌리썩음병을 유발하는 주요 병원균인 Cylindrocarpon destructans의 균사, 분생포자, 후막포자 등이 높은 밀도로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나 토양에서 이 병원균의 밀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토양에서 의 병원균 밀도는 측정하지 못하였다.
인삼 재작지 토양에서 윤작물 재배 후 토양에 혼입하여 토 양화학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토양화학 성분 중에서 질산태질소, 나트륨, 인산의 함량은 변이계수가 매우 커 윤작물 재배에 따라 큰 변화를 보였으나 토양산도, 칼슘, 마그네슘은 변이 계수가 작아 함량의 변화가 크지 않 았다. 토양 pH는 처리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뿌리썩음병에 유의적인 효과를 보인 네마장황, 상추, 파, 열무, 치커리의 경 우 EC, OM, NO3, P2O5, K, Ca는 무처리와 비교하여 모두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Mg은 네마장황과 치커리에서만 유의 성이 인정되었고 Na은 상추와 파에서만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토양산도는 윤작물 재배에 따라 변이폭이 작았는데, 땅콩과 콩을 제외하고 대체로 무처리와 비슷하거나 약간 증가되는 특 징을 보였다. 염류농도는 윤작물 재배에 따라 변이폭이 상당 히 컸는데, 적겨자에서만 감소를 보였고 나머지 윤작물에서는 모두 뚜렷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콩, 네마장황, 땅콩, 수단그라 스, 고추에서 증가폭이 컸다. 일반적으로 윤작물을 재배하면 토양의 염류농도는 감소하는데 (Lee et al., 1989), 본 실험에 서는 식물체를 다시 토양에 혼입하여 환원시켰기 때문에 염류 농도가 증가된 것으로 생각된다. 유기물 함량도 적겨자를 제 외하고 모든 윤작물에서 증가되었는데, 수단그라스, 들깨, 콩 등에서 증가폭이 매우 컸다.
Change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by crop cultivation in soil occurring replant failure..
Cultured crops | pH (1 : 5) | EC (dS/m) | OM (g/kg) | NO3 (mg/kg) | P2O5 (mg/kg) | Ex. Cation (cmol+/kg) | |||
---|---|---|---|---|---|---|---|---|---|
|
|||||||||
K | Ca | Mg | Na | ||||||
|
|||||||||
Control | 6.91 | 0.85 | 46.8 | 62.5 | 227.8 | 0.89 | 10.14 | 2.49 | 0.15 |
Sudangrass | 6.97 | 1.55 | 100.7 | 134.3 | 670.9 | 1.63 | 14.08 | 4.01 | 0.24 |
Sweet potato | 6.95 | 1.35 | 71.6 | 115.1 | 264.8 | 1.33 | 12.43 | 2.64 | 0.24 |
Peanut | 6.78 | 1.60 | 74.7 | 171.3 | 426.6 | 1.23 | 12.16 | 2.99 | 0.13 |
Soybean | 6.78 | 1.77 | 83.8 | 184.9 | 559.9 | 1.73 | 13.19 | 3.27 | 0.16 |
Perilla | 7.08 | 1.19 | 84.9 | 92.7 | 417.1 | 1.51 | 14.13 | 3.43 | 0.27 |
Astragalus | 6.85 | 1.23 | 59.5 | 114.2 | 462.6 | 1.38 | 11.39 | 2.94 | 0.19 |
Codonopsis | 7.02 | 0.94 | 59.2 | 76.0 | 286.6 | 1.22 | 10.31 | 2.60 | 0.19 |
Platycodon | 6.81 | 1.10 | 52.0 | 102.5 | 306.6 | 1.21 | 10.86 | 2.48 | 0.14 |
Glycyrrhiza | 7.02 | 1.07 | 63.0 | 95.6 | 295.5 | 1.17 | 11.32 | 2.71 | 0.17 |
Sunnhemp | 6.86 | 1.75 | 62.0 | 186.9 | 482.0 | 1.61 | 12.58 | 3.05 | 0.15 |
Brassica* | 6.93 | 0.83 | 44.3 | 67.2 | 330.9 | 1.19 | 9.39 | 2.20 | 0.13 |
Brassica** | 7.02 | 0.92 | 55.2 | 71.0 | 500.2 | 1.30 | 10.45 | 2.44 | 0.13 |
Pepper | 7.06 | 1.51 | 57.9 | 151.7 | 615.6 | 1.40 | 11.62 | 2.99 | 0.16 |
Lettuce | 6.83 | 1.13 | 59.5 | 79.0 | 332.7 | 1.06 | 10.88 | 2.63 | 0.22 |
Maize | 7.09 | 1.22 | 55.7 | 94.9 | 461.9 | 1.06 | 11.18 | 2.55 | 0.16 |
Welsh onion | 6.86 | 1.29 | 61.8 | 110.3 | 495.1 | 1.21 | 10.75 | 2.60 | 0.13 |
Radish | 6.95 | 0.91 | 53.4 | 62.2 | 347.9 | 1.00 | 9.93 | 2.45 | 0.14 |
Chicory | 7.20 | 1.19 | 66.8 | 72.7 | 750.4 | 1.81 | 11.93 | 3.32 | 0.36 |
CV (%) | 1.67 | 23.77 | 22.02 | 37.77 | 33.26 | 19.12 | 11.55 | 15.57 | 33.52 |
LSD (5%) | ns | 0.03 | 5.99 | 3.98 | 14.72 | 0.05 | 0.45 | 0.14 | 0.01 |
질산태질소 함량은 윤작물 재배에 따라 변이폭이 가장 컸는 데, 모든 윤작물에서 증가되었다. 특히 네마장황, 콩, 땅콩 등 두과작물에서 크게 증가되었는데, 이는 식물체의 질소함량이 높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Seo and Lee, 2005). 인산 함량은 모 든 윤작물에서 크게 증가하였는데, 특히 치커리, 수단그라스, 고 추, 콩 등에서 크게 증가되었다. 보통 가축분퇴비는 질소와 인 산 함량이 높으며, 특히 인산은 토양입자에 쉽게 결합, 축적되 어 인삼의 생리장해를 유발하는데 (Jang et al., 2013), 본 실 험에서도 윤작물의 재배를 위해 사용한 가축분퇴비와 윤작물 을 토양에 혼입한 것이 인산의 함량을 크게 증가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치환성 양이온 중에서 칼륨 함량은 윤작물 재배에 따라 크 게 증가되었는데, 치커리, 콩, 수단그라스, 네마장황 등에서 증 가폭이 매우 컸다. 칼륨은 가축분퇴비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 며, 칼륨 함량이 높으면 K/Mg의 균형이 깨져 인삼에서 황증 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사용량 등에 주의가 필요하다 (Lee et al., 2013). 칼슘 함량은 적겨자, 무를 제외하고 나머지 윤작물 모두에서 증가되었는데, 수단그라스, 들깨, 콩 등에서 증가폭 이 컸으나 칼륨보다 그 증가폭이 크지 않았다. 마그네슘 함량 은 적겨자, 청갓, 무, 도라지에서는 약간 감소되고 나머지 윤 작물은 모두 증가되었는데, 수단그라스, 들깨, 치커리 등에서 증가폭이 컸다. 나트륨 함량은 청갓, 적겨자, 땅콩, 파에서 약 간 감소되고 도라지, 네마장황, 무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나머지 윤작물은 모두 증가되었는데, 특히 치커리, 들깨, 수단 그라스, 고구마 등에서 증가폭이 컸다.
위 결과를 요약해 보면 윤작물 재배로 인한 가축분퇴비의 시용과 윤작물의 토양 혼입으로 토양의 무기성분 함량은 증가 되었는데, 과용시 인삼 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EC, NO3, P2O5, K 함량은 수단그라스, 땅콩, 콩, 네마장황, 고추 재배시 크게 증가되었으므로 예정지 관리시 윤작물 선정에 주 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인삼 재작지 토양에서 윤작물 1년 재배 후 묘삼을 이식하여 2년생 인삼의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Table4) 지상부 생존 율, 경장, 주당근중은 윤작물 재배에 따라 변이폭이 컸으나 초 장, 엽장, 엽폭은 상대적으로 변이폭이 작았다. 뿌리썩음병에 유의적인 효과를 보인 네마장황, 상추, 파, 열무, 치커리의 경 우 초장, 엽장, 엽폭은 무처리와 비교하여 모두 유의성이 인정 되지 않았는데, 경장은 열무에서, 근중은 치커리에서, 지상부 생존율은 네마장황에서만 무처리와 비교하여 유의성이 인정되 었다.
Aerial growth characteristics of 2-year-old ginseng by crop cultivation in soil occurring replant failure.
Cultured crops | Plant height (cm) | Stem length (cm) | Leaf length (cm) | Leaf width (cm) | Root weight (g/plant) | Survival ratio of aerial part (%) |
---|---|---|---|---|---|---|
|
||||||
Control | 16.7 | 4.5 | 5.7 | 3.1 | 1.05 | 11.1 |
Sudangrass | 17.8 | 5.2 | 6.3 | 3.3 | 1.17 | 43.3 |
Sweet potato | 18.5 | 6.0 | 5.9 | 3.1 | 1.11 | 45.6 |
Peanut | 16.8 | 4.1 | 6.2 | 3.3 | 0.89 | 16.7 |
Soybean | 16.0 | 3.8 | 5.9 | 3.0 | 0.94 | 15.6 |
Perilla | 19.2 | 6.3 | 6.2 | 3.3 | 0.96 | 45.6 |
Astragalus | 14.0 | 3.2 | 5.1 | 2.9 | 0.93 | 6.7 |
Codonopsi | 15.7 | 4.4 | 5.5 | 3.0 | 0.80 | 40.6 |
Platycodon | 15.3 | 4.5 | 5.6 | 2.8 | 0.64 | 25.6 |
Glycyrrhiza | 15.3 | 3.1 | 5.8 | 3.6 | 0.54 | 2.2 |
Sunnhemp | 17.8 | 5.0 | 5.8 | 3.2 | 0.99 | 42.2 |
Brassica* | 17.6 | 5.2 | 6.1 | 3.0 | 1.04 | 26.7 |
Brassica** | 14.7 | 3.1 | 5.8 | 3.1 | 0.99 | 16.1 |
Pepper | 15.8 | 4.1 | 6.1 | 3.2 | 0.98 | 18.9 |
Lettuce | 16.3 | 4.2 | 6.0 | 3.2 | 0.90 | 11.1 |
Maize | 17.9 | 4.5 | 6.2 | 3.1 | 0.93 | 35.6 |
Welsh onion | 18.1 | 4.7 | 6.5 | 3.5 | 0.92 | 10.0 |
Radish | 17.1 | 5.9 | 5.5 | 2.9 | 0.89 | 15.6 |
Chicory | 17.2 | 5.1 | 5.6 | 3.0 | 0.75 | 13.3 |
CV (%) | 8.07 | 20.26 | 5.66 | 6.72 | 16.55 | 061.97 |
LSD (5%) | 2.34 | 1.18 | 0.81 | 0.44 | 00.21 | 17.01 |
초장은 윤작물 재배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되었는데, 들깨, 고구마, 파, 옥수수, 수단그라스, 네마장황, 적겨자에서 증가되 었고 황기, 청갓, 더덕, 도라지에서 감소되었다. 경장은 들깨, 고구마, 무, 적겨자, 치커리에서 증가되었고 감초, 청갓, 황기, 콩에서 감소되었다. 엽장과 엽폭은 파, 감초, 들깨, 콩, 수단그 라스에서 증가하였고 황기, 도덕, 도라지, 무에서 감소하였다. 지상부 생존율은 들깨, 고구마, 수단그라스, 네마장황, 옥수수 에서 뚜렷이 증가하였고 감초, 황기, 파에서 감소되었다. 주당 근중은 수단그라스와 고구마에서 증가되었고 나머지 윤작물에 서는 모두 감소되었는데, 특히 감초, 도라지, 치커리, 더덕에서 뚜렷이 감소하였다. 인삼에서 지상부 생존율이 높으면 광합성 을 할 수 있는 잎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어 근중비대에 유 리한데 (Kim et al., 2014; Lee et al., 2013), 본 실험에서 수단그라스와 고구마 처리를 제외하고 들깨, 네마장황, 더덕, 옥수수처럼 인삼의 지상부 생존율이 높았던 처리에서도 주당 근중이 증가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원인은 근중의 증가가 지 상부 생존율보다 토양의 무기성분 과잉 (Hyun et al., 2009) 과 생육억제물질의 존재 (Sun et al., 2013; Seo and Lee, 1993; Lee et al., 2012)에 더 큰 영향을 받았기 때문인 것으 로 생각된다.
위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재작지에서 윤작물 재배에 따라 들 깨, 고구마, 수단그라스, 파 등은 인삼 생육을 촉진하였고 황 기, 더덕, 도라지, 감초, 콩 등은 인삼 생육을 억제하였는데, 향후 이와 같은 작물의 재배에 따른 토양이화학성의 변화와 생육억제물질 (alleochemicals)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인삼 재작지 토양에서 윤작물 1년 재배 후 묘삼을 이식하여 2년생 인삼의 뿌리썩음병 발생 정도를 조사한 결과 (Fig. 1) 뿌리썩음병에 감염되지 않은 건전주 비율은 무처리가 7.8%로 낮은 반면 치커리 40.0%, 상추 31.1%, 열무 31.1%, 네마장황 24.4%, 파 22.2% 로 높아 인삼의 뿌리썩음병 발생 억제에 효 과가 있었다.
Inhibition effect on root rot disease of 2-year-old ginseng by crop cultivation in soil occurring replant failure. Brassica 1; Brassica juncea L. (Jeokgyeoja), Brassica 2; Brassica juncea Czern (Cheonggat).
치커리는 국화과 식물로 항균작용 (Street et al., 2014)과 살충작용이 있으며 (Mansour et al., 2014), 뿌리와 잎에 페놀 화합물이 각각 0.104%, 0.044% 함유되어 있고 치커리의 수용 성 추출물은 산묵새, 알팔파, 토끼풀의 발아와 유묘 생장을 촉 진하였다 (Wang et al., 2012). 상추는 국화과 식물로 폴리페 놀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항산화, 항균작용이 높으며 (Liorach et al., 2008), 상추 추출액은 무사마귀병의 휴면포자 발아를 뚜렷이 억제하였다 (Kim et al., 2000). 무에 함유되어 있는 glucosinolates라는 배당체는 뿌리를 갈면 isothiocyanates라는 휘발성 물질로 변화되어 항균, 살충작용을 하는데, Rhizoctonia 에 의한 사과나무의 뿌리썩음병을 억제했다 (Cohen et al., 2005). 반 건조된 네마장황 식물체를 토양에 투입하면 고구마 뿌리혹선충의 밀도가 낮아지고 호박의 줄기와 뿌리의 생육이 증가되었다 (Wang et al., 2004).
무처리보다 낮은 건전주 비율을 보인 윤작물은 고추, 콩, 황 기, 감초, 들깨, 도라지, 땅콩 등으로 나타나 이와 같은 윤작물 은 인삼의 뿌리썩음병 발생을 촉진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콩, 황기, 감초, 땅콩 등과 같은 두과작물의 경우 인삼의 뿌리 썩음병 발생이 촉진되었는데, Oh 등 (2012)도 두과작물인 헤 어리벳치는 화본과 작물인 호밀에 비해 식물병원균을 억제하 는 세균과 방선균의 밀도가 낮고 병 발생을 촉진하는 진균의 밀도가 높다고 하였다. 또한 배지에 질소원 첨가는 인삼 뿌리 썩음병원균 (Cylindrocarpon destructans)의 균사 생장 및 분 생포자 형성을 촉진했다는 보고 (Cho et al., 1997)와 같이 두과식물체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질소성분이 뿌리썩음병 발 생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구마, 더덕, 적 겨자, 청갓, 옥수수 등은 건전주 비율이 무처리보다 약간 높거 나 비슷하여 인삼의 뿌리썩음병 발생과 관계가 적은 것으로 보인다.
윤작물 재배후 토양화학성과 인삼 뿌리썩음병 발생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면 (Table 5) 인삼의 건전주 비율은 질 산태질소와 부의 상관을 보였고 나트륨 함량과 정의 상관을 보여 대체로 질산태질소 함량이 많으면 건전주 비율이 낮아져 뿌리썩음병 발생이 많아지고, 나트륨 함량이 많으면 건전주 비 율은 높아져 뿌리썩음병 발생이 적어지는 특징을 보였으나 모 두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Cho 등 (1997)는 질소원의 첨 가는 인삼 뿌리썩음병 생장을 촉진한다고 하였고 Lee 등 (1985)도 질산태질소는 인삼의 결주율을 증가시켰다고 하여 본 실험과 비슷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일반적으로 나트륨 함량이 높아지면 토양염류농도가 상승하여 인삼뿌리썩음병 발생이 증 가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본 실험에서는 정반대의 결과를 보 였으므로 금후 나트륨 함량과 인삼 뿌리썩음병 발생과의 관계 에 대해서는 더 자세한 검토가 요망된다. 토양의 이화학성 중 에서 질산태질소는 칼륨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고 나트륨은 마그네슘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the ratio of healthy root in soil occurring replant failure.
RHR♩ | pH | EC | OM | NO3 | P2O5 | K | Ca | Mg | Na | |
---|---|---|---|---|---|---|---|---|---|---|
|
||||||||||
RHR | 01.00 | |||||||||
pH | 0.173 | 1.00 | ||||||||
EC | –0.144 | –0.303 | 1.00 | |||||||
OM | –0.092 | 0.010 | 0.644** | 1.00 | ||||||
NO3 | –0.316 | –0.447* | 0.955** | 0.508* | 01.00 | |||||
P2O5 | 0.221 | 0.313 | 0.536* | 0.478* | 0.381 | 1.00 | ||||
K | 0.079 | 0.169 | 00.169 | 0.655** | 0.532* | 0.760** | 1.00 | |||
Ca | –0.164 | 0.046 | 0.747** | 0.914** | 0.620** | 0.486* | 0.729** | 1.00 | ||
Mg | 0.010 | 0.141 | 0.659** | 0.888** | 0.511* | 0.690** | 0.777** | 0.984** | 1.00 | |
Na | 0.393 | 0.536* | 0.072 | 0.468* | –0.166 | 0.398 | 0.550* | 0.492* | 0.574** | 1.00 |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에서 주관하는 인삼 연작장해 경감을 위한 기반기술 개발 및 실용화 연구 과제(과제번호: PJ00857602)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결과로 이에 감 사드립니다.
1. | Ahn, YJ, Kim, HJ, Ohh, SH, Choi, SY, Effect of soil fumigation on growth, root rot, and red discoloration of Panax ginseng in replanted soils, Korean Journal of Ginseng Science, (1982), 6, p46-55. |
2. | Booth, CD, The genus Cylindrocarpon, Mycology paper No, (1966), 104, p1-56. |
3. | Cho, DH, Yu, YH, Oh, SH, Lee, HS, Effect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 on the mycelial growth and sporulation of Cylindrocarpon destructans causing root rot of Panax ginseng, Research in Plant Disease, (1997), 13, p30-36. |
4. | Cohen, MF, Yamasaki, H, Mazzola, M, Brassica napus seed meal soil amendment modifies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nitric oxide production and incidence ofRhizoctonia root rot,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2005), 37, p1215-1227. |
5. | Hashem, M, Moharam, AM, Zaied, AA, Saleh, FEM, Efficacy of essential oil in the control of cumin root rot disease caused by Fusarium spp, Crop Protection, (2010), 29, p1111-1117. |
6. | Hyun, DY, Yeon, BY, Lee, SW, Kang, SW, Hyun, GS, Kim, YC, Lee, KW, Kim, SM, Analysis of occurrence type of physiological disorder to soil chemical components in ginseng cultivated field,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2009), 17, p439-444. |
7. | Jang, IB, Hyun, DY, Lee, SW, Kim, YC, Kim, JW, Park, KC, Bang, KH, Kim, KH, Analysis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disorder of Korean ginseng affected by application of manure in paddy-converted field,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3), 21, p380-387. |
8. | Kang, SW, Yeon, BY, Hyeon, GS, Bae, YS, Lee, SW, Seong, NS, Change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root injury ratio by progress years of post-harvest in continuous cropping soils of ginseng,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07), 15, p157-161. |
9. | Kim, CH, Cho, WD, Kim, HM, Some environment factors affecting germination and survival spores of Plasmodiophora brassica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2000), 4, p66-71. |
10. | Kim, DW, Kim, JY, You, DH, Kim, CS, Kim, HJ, Park, JS, Kim, JM, Choi, DC, Oh, NK, Effect of cultivation using plastic-film house on yield and quality of ginseng in paddy field,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4), 22, p210-216. |
11. | Lee, JC, Kim, HJ, Oh, SH, Review of studies on ginseng replanting problems, Korean Society of Cop Science(Disaster physiology), (1989), 1, p115-120. |
12. | Lee, IH, Park, CS, Yu, YH, Yuk, CS, Studies on the soil management in ginseng preplanting soil (II).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characteristics of 2-year-old ginseng field soil and the ratio of missing plant, Korean Journal of Ginseng Science, (1985), 9, p36-41. |
13. | Lee, IH, Yuk, CS, Park, H, Yield and missing plant rate of Panax ginseng affected by the annual change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inseng cultivated soil,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1989), 22, p18-24. |
14. | Lee, JH, Byeon, JH, Lee, JH, Park, CG, Park, CB, Cho, JH, Alleopathic effect of Ganghwa mugwort(Artemisia spp.)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plants,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012), 20, p589-605. |
15. | Lee, JS, Han, KS, Lee, SC, Soh, JW, Kim, DW,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development of root rot on ginseng caused by Cylindrocarpon destructans, Research in Plant Disease, (2014a), 20, p87-94. |
16. | Lee, SG, Fusarium species associated with ginseng(Panax ginseng) and their role in the root-rot of ginseng plant, Research in Plant Disease, (2004), 10, p248-259. |
17. | Lee, SW, Lee, SH, Park, KH, Jang, IB, Jin, MeiLan, Kim, KH, Effect of irrigation of sulfur solution before sowing on growth and root rot disease of seedling in ginseng nursery,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4b), 22, p391-397. |
18. | Lee, SW, Park, KC, Lee, SH, Park, JM, Jang, IB, Kim, KH, Soil chemical property and leaf mineral nutrient of ginseng cultivated in paddy field occurring leaf discolora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3), 21, p289-295. |
19. | Liorach, R, Martinez-Sanchez, A, Tomas-Barberan, FA, Gil, MI, Ferreres, F, Characterization of polypheno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ive lettuce varieties and escarole, Food Chemistry, (2008), 108, p1028-1038. |
20. | Mansour, SA, Ibrahim, RM, EI-Gengaihi, SE, Insecticidal activity of chicory(Cichorium intybus L.) extracts against two dipterous insect-disease vectors: Mosquito and
housefly,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 (2014), 54, p192-202. |
21. |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NIAST),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2000),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p89-93. |
22. | Nicol, RW, Yousef, FL, Traquair, JA, Bernards, AM, Ginsenosides stimulate the growth of soilborne pathogens of American ginseng, Phytochemistry, (2003), 64, p257-264. |
23. | Oh, YJ, Kang, SB, Song, YI, Choi, JH, Paik, WK, Effects of cover plants on soil microbial community in organic apple orchard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12), 45, p822-828. |
24. | Pearse, IS, Bastow, JL, Tsang, A, Radish introduction affects soil biota and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growth of a native plant, Oecologia, (2014), 174, p471-478. |
25. | Proctor, RH, Hohn, TM, McCormick, SP, Reduced virulence of Gibberella zeae caused by disruption of a trichothecene toxin biosynthetic gene, Molecular Plant-Microbe Interaction, (1995), 8, p593-601. |
26. | Punja, ZK, Fungal pathogens of American ginseng(Panax quinquefolium) in British Columbia, Canadian Journal of Plant Pathology, (1997), 19, p301-306. |
27. | Rahman, M, Punja, ZK, Factors influencing development of root rot on ginseng caused by Cylindrocarpon destructans, Phytopathology, (2005), 95, p1381-1390. |
28. | Seo, JH, Lee, HJ, Effect of hairy vetch green manure on nitrogen enrichment in soil and corn plant,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05), 38, p211-217. |
29. | Seo, JS, Lee, SK, Competitive effects of allelochemics on the monoculture and cross-cropping culture system of plant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1993), 26, p259-264. |
30. | Shin, HS, Lee, HH, Lee, MW,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fungal and Fusarium spp. propagules in ginseng field soil, Mycobiology, (1985), 14, p109-119. |
31. | Street, AR, Sidana, J, Prinsloo, G, Cichorium intybus: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toxicology,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4), 2013, p1-13. |
32. | Sun, J, Fu, J, Zhou, R, Yan, X, Antibiotic effects of four exogenous phenolic acids on soilborne pathogen, Cylindrocarpon destructans, Applied Mechanics and Materials, (2013), 295-298, p2294-2299. |
33. | Uhm, MJ, Han, SG, Kim, KC, Moon, YH, Choi, JS, Properties of plastic film house soils and physiological disorder of eggplant,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01), 34, p192-198. |
34. | Wang, Q, Xie, B, Wu, C, Chen, G, Wang, Z, Cui, J, Hu, T, Wiatrak, P, Models analyses for allelopathic effects of chicory at equivalent coupling of nitrogen supply and pH level on F. arundinacea, T. repens and M. sativa, Plos One, (2012), 7, p1-10. |
35. | Wang, KH, Mcsorley, R, Gallaher, RN, Effect of Crotalaria juncea amendment on squash infected with Meloidogyne incognita, Journal of Nematology, (2004), 36, p290-296. |
36. | Yang, SS, Kim, CH, Nam, KW, Effect of soil salinity on the root growth and Fusarium disease of tomato and cucumber, Research in Plant Disease, (2000), 6, p71-75. |
37. | Yousef, FL, Bernards, AM, In vitro metabolism of ginsenosides by the ginseng root pathogen Pythium irrgulare, Phytochemistry, (2006), 67, p1740-1749. |
Bisan-ro 92, Soie-myoen, Eumseong-gun, Chungbuk 27709, Korea
TEL : 043-871-5598 / FAX : 043-871-5599 / E-mail : medcrop@hanmail.net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Crop Science. All rights reserved.